2016년 12월 10일 토요일

万葉集 51 : 婇女乃 袖吹反 明日香風 京都乎遠見 無用尓布久 もめの そでふかへ あすかかぜ みやこをとほみ なつにふく모메노 소데후카헤 아스카가제 미야코토미 나쓰니후쿠 (枕詞)

女乃 袖吹反 明日香風 京都乎遠見 無用尓布久.
(もめの そでふかへ あすかかぜ みやこをとほみ なつにふく.)
(momeno sodefukahe asukakaze miyakowotohomi nassınifuku.)
(모메노 소데후카헤 아스카가제 미야코오토호미 나쓰니후쿠.)
모메의 소매뒤집는 아스카바람 미야코멀리보며 부질없이분다.

原文: 女乃 袖吹反 明日香風 京都乎遠見 無用尓布久.

cf.1 女(うねめ) > 女(もめ)
cf.2 尓布久(naSSınifuku ; なつにふく) : 쓸데없이 분다 , 부질없이 분다
cf.3 京都(みやこ) = 宮処 > 宮子

万葉集 21 : 尓苦久有者 人嬬故尓 吾戀目八方 니쿠히사바 도메유에니 와괴메야모 (枕詞)

紫草能 尓保敝類妹乎 尓苦久有者 人嬬故尓 吾戀目八方.
(しかの にほへるいもを にくひさば とめゆゑに わこめやも.)
(sikano nihoheruimowo nikuhisaba tomeyueni wakoymeyamo.)
(시카노 니호헤루이모오 니쿠히사바 도메유에니 와괴메야모.)

原文: 紫草能 尓保敝類妹乎 尓苦久有者 人嬬故尓 吾戀目八方.

cf.1 尓保敝類(にほへる) : 匂える

2016년 12월 5일 월요일

万葉集 2851 : 人所見 表結 人不見 裏紐開 戀日太 とぼみ うへゆ とふみ しもけ こひだ 남보면 겉끈매고 남안보면 속끈푸는 사하랑

人所見 表結 人不見 裏紐開 戀日太.
(とぼみ うへゆ とふみ しもけ こひだ.)
(tobomi uheyu tofumi simoke kohida.)
(도보미 우헤유 도후미 시모케 고히다.)
남보면 겉끈매고 남아니보면 속끈푸는 사하랑.

原文: 人所見 表結 人不見 裏紐開 戀日太.

cf.1 裏紐(#2409,#2413,#2851) = 下紐(#727,#2973,#2976,#3049,#3145,#3181) : 
     したびも > しも
cf.2 戀日太(こひだ) : こふるひおほき
     戀夜多(#2030)
cf.3 사하랑 < 사하(多) + 사랑(戀)

2016년 12월 4일 일요일

万葉集 488 : 君待登 吾戀居者 我屋戸之 簾動之 秋風吹 きまと あこいをれば わがやどの すとし あかふ 님기다려 나사랑키면 우리집 발움직이며 갈바람분다

君待登 吾戀居者 我屋戸之 簾動之 秋風吹.
(きまと あこをれば わがやどの すとし あかふ.)
(kimmato akoyworeba wagayadono sutosi akafu.)
(김마토 아괴오레바 와가야도노 스토시 아카후.)
님기다려 나사랑키면 우리집 발움직이며 갈바람분다.)

原文: 君待登 吾戀居者 我屋戸之 簾動之 秋風吹.

cf.1 万葉集 488 = 万葉集 1606

2016년 11월 29일 화요일

万葉集 42 : 潮左爲二 榜船荷 妹乗良六鹿 시호사하니 고후니 이노라무카 しほさはに こふに いのらむか (枕詞)

潮左為二 五十等兒乃嶋邊 榜船荷 妹乗良六鹿 荒嶋廻乎.
(しほさはに いらごのしまへ こふに いのらむか あらしみを.)
(sihosahani iragonosimahe kofuni inoramuka arasimiwo.)

原文: 潮左為二 五十等兒乃嶋邊 榜船荷 妹乗良六鹿 荒嶋廻乎.

万葉集 33 : 樂浪乃 國都美神乃 浦佐備而 荒有京 見者悲毛 さなの くつみかの うらさびて あらみ みればかなしも 사나노 구츠미카노 우라사비테 아라미 미레바가나시모 (枕詞)

樂浪乃 國都美神乃 浦佐備而 荒有京 見者悲毛.
(さなの くつみかの うらさびて あらみ みればかなしも.)
(sanano kutumikano urasabite arami mirebakanasimo.)
(사나노 구츠미카노 우라사비테 아라미 미레바가나시모.)

原文: 樂浪乃 國都美神乃 浦佐備而 荒有京 見者悲毛.

cf.1 國遠見可聞(#44)
cf.2 美神 = 御神 : みかみ > みか

2016년 11월 25일 금요일

万葉集 1819 : 柳乃宇礼尓 鶯鳴都 야노우레니 야나두 やのうれに やなつ (枕詞)

打霏 春立奴良志 吾門之 柳乃宇礼尓 鴬鳴都.
(あんなび はりぬらし わどの のうれに なつ.)
(annabi harinurasi wadono yanoureni yanatu.)
(안나비 하리누라시 와도노 야노우레니 야나두.)

原文: 打霏 春立奴良志 吾門之 柳乃宇礼尓 鴬鳴都.

cf1. (#146)子松之宇礼
cf2. 柳(やなぎ)  = 楊 = ヤゥ >
cf3. 鴬 = ヤゥ >

2016년 11월 23일 수요일

万葉集 3131 : 日毛不易爲而 戀之重 날도안바꿔 겹사랑 ひもふかへして こいしげ

月易而 君乎婆見登 念鴨 日毛不易爲而 戀之重.
(つかへ きもばみと もひか ひもふかへして こいしげ.)
(tukahe kimobamito mohika himofukahesite koysige.)
(두카헤 김오바미토 모히카 히모후카헤시테 괴시게.)
달바꿔 님을랑보러 생각할터에 날도안바꿔 겹사랑.

原文:月易而 君乎婆見登 念鴨 日毛不易為而 戀之重.

cf.1 月易而(つきかへて) > つかへ
cf.2 戀之重(こひししげ) > こしげ

2016년 11월 21일 월요일

万葉集 1604 : 秋去者 春日山之 黄葉見流 寧樂乃京師乃 荒良久惜毛 あきば はるめの にばみる ならのみやこの あらくしも 아키바 하루메노 니바미루 나라노미야코노 아라쿠시모 (枕詞)

秋去者 春日山之 黄葉見流 寧樂乃京師乃 荒良久惜毛.
(あきば はるめの にばみる ならのみやこの あらくしも.)
(akiba harumeno nibamiru naranomiyakono arakusimo.)

(아키바 하루메노 니바미루 나라노미야코노 아라쿠시모.)

原文: 秋去者 春日山之 黄葉見流 寧樂乃京師乃 荒良久惜毛.

cf.1 春日山(はるめ) = 春日野 = 春野(harume or harumae) : 春女(할매)
cf.2 寧樂乃京師 : 楢の宮子
  *寧樂(なら) > 楢[不是地名]

2016년 11월 17일 목요일

万葉集 2344 : 市白兼名 間使遣者 모를쏘냐 마두카히 不知けな 間使ひ

梅花 其跡毛不(所)見 零雪之 市白兼名 間使遣者 [零雪尓 間使遣者 其將知奈].
(うめば そともふみ ふゆき いさけむな まづかひ(ふゆに まづかひ そむしるな).)
(umeba sotomofumi fuyuki isakemuna madukahi(fuyuni madukahi somusiruna).)
梅花 そとも見ず 降雪する 不知けな 間使ひ(降雪する 間使ひ それを知るか).

原文: 梅花 其跡毛不所見 零雪之 市白兼名 間使遣者 [一云 零雪尓 間使遣者 其将知<奈>].

cf.1 零雪之(ふるゆきの) > ふゆ(후유킈)
cf.2 間使遣者(madukahi) = 間使ひ :  人と人との間で消息などを伝えるための使い.

2016년 11월 15일 화요일

万葉集 893 : 飛立可祢都 鳥尓之安良祢婆 とびかねつ かにしあらねば 도비가네츠 가니시아라네바

世間[余能奈可]乎 宇之等夜佐之等 於母倍杼母 飛立可祢都 鳥尓之安良祢婆.[万葉仮名]
(よのなかを うしとやさしと おもへども とびかねつ かにしあらねば.)
(yononakawo usitoyasasito omohedomo tobikanetu kanisiaraneba.)
(요노나카오 우시토야사시토 오모헤도모 도비가네츠 가니시아라네바.)
세상을 쓰리거나 편하다고 생각하지만 날지못하는 새라도 없었더라면.

原本文推定:
世間乎 憂等優等 雖念 飛不勝 鳥西不有者.

原文: 世間乎 宇之等夜佐之等 於母倍杼母 飛立可祢都 鳥尓之安良祢婆.

2016년 11월 2일 수요일

万葉集 628 : 變水者 鹿煮藻闕二毛 求而將行 회춘수는 좌우간 구하러가리

白髪生流 事者不念 變水者 鹿煮藻闕二毛 求而將行.
(さかおふる ことふもひ をちみづは かにもかくにも もとみゆむ.)
(sakaofuru kotofumohi wotimizuha kanimokakunimo motomiyumu.)
(사카오후루 고토후모히 오치미즈와 가니모가쿠니모 모토미유무.)
흰머리나는 것은불념코 회춘수는 좌우간 구하러가리.

原文: 白髪生流 事者不念 變水者 鹿煮藻闕二毛 求而将行.

cf.1 鹿煮藻闕二毛(かにもかくにも) = 此方彼方毛(#412) = 左右裳(#629) = 左毛右毛(#3836)
cf.2 白髪生流(さかおふる) = 白髪生二有(#627)

2016년 10월 26일 수요일

万葉集 678 : 直相而 見而者耳社 霊剋 命向 吾戀止眼 ただひ みいのみさ たまきはる みむか あこいやまめ 다다히 미이노미사 담기할 미무카 아괴야마메 (枕詞)

直相而 見而者耳社 霊剋 命向 吾戀止眼.
(ただひ みいのみさ たまきはる みむか あこやまめ。)
(sugahi miinomisa tamkihal mimuka akoyyamame.)
(다다히 미이노미사 담기할 미무카 아괴야마메.)

原文: 直相而 見而者耳社 霊剋 命向 吾戀止眼.

cf.1 命向(みむか) = 命對(#2979)
cf.2 = みこと

2016년 10월 20일 목요일

万葉集 0004 : 玉尅春 内乃大野尓 馬數而 朝布麻須等六 其草深野 たまきはる あんのために まなめ あさふますらむ くさふかの (枕詞)

玉尅春 内乃大野尓 馬數而 朝布麻須等六 其草深野.
(たまきはる あんのために まなめ あさふますらむ くさふかの.)
(tamkihal annotameni maname asafumasuramu kusafukano.)
(담기할 안노타메니 마나메 아사후마스라무 구사후카노.)

原文: 玉尅春 内乃大野尓 馬數而 朝布麻須等六 其草深野.

cf.1 玉尅春(たまきはる) : 다마끼(담기)할[枕詞]
   *霊剋(#678,897,904,975,1043,1769)=玉切(#1455,2374,2531)=玉剋(#4211)=
    霊寸春(#1912)
cf.2 大野(ため) : 為
   *内乃大野尓(あんのために) ; annotameni

2016년 10월 16일 일요일

万葉集 2230 : 戀乍裳 稲葉掻別 家居者 乏不有 秋之暮風 こいさも いなばもれ へゐば ともしふら あきのゆか 사랑해싸도 이나시들해 집에있으면 불길없는 가을늦바람

戀乍裳 稲葉掻別 家居者 乏不有 秋之暮風.
(こいさも いなばもれ へゐば ともしふら あきのゆか.)
(koysamo inabamore hewiba tomosifura akinoyuka.)
(괴사모 이나바모레 헤위바 도모시후라 아키노유카.)
사랑해싸도 이나시들해 집에있으면 불길없는 가을늦바람.

原文: 戀乍裳 稲葉掻別 家居者 乏不有 秋之暮風.

cf.1 戀 : こひ(kohi) >こい(koy) = 괴(다)

2016년 10월 7일 금요일

万葉集 34 = 万葉集 1716 : 白浪乃 濱松之枝乃 手向草 さなの はまがえの たむか 사나노 하마가에노 다무카 (枕詞)

白浪乃 濱松之枝乃 手向草 幾代左右二賀 年乃經去良武 [一云 年者經尓計武].
(さなの はまがえの たむか いくよまでにか としのへにらむ(としはへにけむ)).
(sanano hamagaeno tamuka ikuyomadenika tosinoheniramu (tosihahenikemu)).
(사나노 하마가에노 다무카 이쿠요마데니카 도시노헤니라무).

原文: 白浪乃 濱松之枝乃 手向草 幾代左右二賀 年乃經去良武 [一云 年者經尓計武].

cf.1 手向草手酬草(#1716) =  たむか採摘吃?

2016년 9월 22일 목요일

万葉集 2592 : 戀死 後何爲 吾命 生日社 見幕欲爲礼 こひし ごかせ わみおひさ よみすれ 죽도록 그리워라 뒤는 어찌튼 이목숨 다하는 날까지 훑보고저

戀死 後何爲 吾命 生日社 見幕欲爲礼.
(こひし ごかせ わみおひさ よみすれ.)
(kohisi gokase wami ohisa yomisure.)
(고히시 고카세 와미 오히사 요미스레.)

죽도록 그리워라 뒤는 어찌튼 이목숨 다하는 날까지 훑보고저.

原文: 戀死 後何為 吾命 生日社 見幕欲為礼.

cf.1 後何為(のちはなにせむ) > ごかせ
cf.2 吾命(わがいのち) > わがいのち(みこと)> わ
cf.3 見幕欲為礼 = 欲見為礼(よみすれ)

2016년 9월 12일 월요일

万葉集 1218 : 黒牛乃海 紅丹穂經 ぬぶしのみ くれにほふ 누부시노미 구레니호후 (枕詞)

黒牛乃海 紅丹穂經 百礒城乃 大宮人四 朝入為良霜.
(ぬぶしのみ くれにほふ ももしきの たみやとし あさりはらしも.)
(nubusinomi kurenihohu momosikino tamiyatosi asariharasimo.)
(누부시노미 구레니호후 모모시키노 다미야토시 아사리하라시모.)

原文: 黒牛乃海 紅丹穂經 百礒城乃 大宮人四 朝入為良霜.

2016년 9월 11일 일요일

万葉集 22 : 河上乃 湯津盤村二 草武左受 常丹毛冀名 常處女煮手 なかの ゆばれ くさもさず つねもがも とこめ 나카노 쿠사모사즈 츠네모가모 도코메 (枕詞)

河上乃 湯津盤村二 草武左受 常丹毛冀名 常處女煮手.
in aliis verbis :
河上乃 湯盤村 草不刺 常欲得 常處女.
(なかの ゆばれ くさもさず つねもがも とこめ.)
(nakano yubare kusamosazu tunemogamo tokome.)
나카노 유바레 쿠사모사즈 츠네모가모 도코메.

原文: 河上乃 湯津盤村二 草武左受 常丹毛冀名 常處女煮手.

cf.1 湯津盤村 : 湯の盤村(いはれ)
  ゆついはれ > ゆちはれ(yuTIhare) > ゆばれ
cf.2 草武左受 : 草も刺ず(くさもさず)
cf.3 常處女(とこめ) : とこおとめ

2016년 7월 29일 금요일

24절기(입춘,춘분,하지,동지 등)는 양력이며, 절기 이름의 생성을 제외하고는 음력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

24절기(二十四節氣)는 양력이며, 태양년을 중심으로 중국에서 24절기를 만들 때 주로 음력을 쓰고 있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절기는 음력과 아무런 상관이 없다.
환언하면 음력이 없어도 24절기를 지내는 데에는 아무 지장이 없다.
절기는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1년 360°를 15°씩 24 개로 쪼갠 것을 말하며 (하루 평균0.9856°에 해당; 한 절기 평균 15.21844 일)해마다 일정한 기일에 오지만 윤년의 경우 1일이 추가되는 등 1년365.2425일과 달력상의 365일(또는 366일)과의 차이로 하루 이틀 씩 달라지게 된다.
(만약에 1년이 정확히 360일이고 음력 한 달이 30일이라면 양력과 음력(태음태양력의 줄임말)의 차이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고 각 절기는 항상 정확히 15일마다 오게 된다.)

입춘우수경칩
춘분청명곡우
입하소만망종
하지소서대서
입추처서백로
추분한로상강
입동소설대설
동지소한대한
                                   동지
                       입춘                 입동

                 춘분                               추분

                        입하                입추

                                    하지

1년의 시작을 동지(0°)로 본다면(南半球에서는 하지),
동지의 반대쪽(180°)이 하지,
동지와 하지의 가운데가 각각 춘분과 추분이 된다.
그리고 동지와 춘분의 한가운데가 입춘,
춘분과 하지의 한가운데가 입하,
하지와 추분의 한가운데가 입추,
추분과 동지의 한가운데가 입동이 된다.
또한 위의 8 가지 기본절기 사이에 2개씩 중간절기가 들어가서 모두 24절기가 된다.

입춘(같은 날 남반구에서는 입추)은 봄의 시작이라기보다
봄기운이 땅속에서 생기는 시기라고 하겠다.

입하 입추 입동도 마찬가지다.

서양에서는 춘분이 봄의 시작
하지가 여름의 시작
추분이 가을의 시작
동지가 겨울의 시작이라고 표시한 달력도 있다.

立春,雨水,驚蟄,春分,清明,穀雨,
立夏,小滿,芒種,夏至,小暑,大暑,
立秋,處暑,白露,秋分,寒露,霜降,
立冬,小雪,大雪,冬至,小寒,大寒,